RUBY
[SJCU]1주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본문
데이터베이스 구축
1주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
학습내용
- 마당서점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 정보 시스템의 발전
학습목표
- 마당서점을 통하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중심으로 한 정보 시스템의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1. 마당서점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 마당서점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단계] 마당서점의 시작 / 마당서점 초기
도서 : 100권
고객 : 근처 학교의 학생, 지역 주민, 고객이 직접 방문 구입
고객 서비스 : 사장이 직접 도서 안내
업무 : 회계업무(계산기 사용), 장부에 기록
[2단계] 컴퓨터의 도입 / 마당서점 전산화
도서 : 1,000권
고객 : 근처 학교의 학생, 지역 주민, 고객이 직접 방문 구입
고객 서비스 : 컴퓨터를 이용하여 도서 검색, 직원 고용(LAN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사무실 안에 여러대 컴퓨터연결))
업무 : 회계업무(컴퓨터 사용), 파일 시스템(텍스트 파일을 C언어, Java.. 등을 통해 데이터 처리)
[3단계] 지점 개설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마당서점 DBMS 도입
도서 : 10,000권
고객 : 서울 지역 고객, 고객이 직접 방문
고객 서비스 :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지점을 연결하여 도서 검색 서비스 제공
업무 : 회계업무(컴퓨터 사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DBMS를 도입하여 서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응용프로그램(사용자를 위해)을 연동시킴
본점과 지점은 전용선을 이용하여 전산시스템을 연결함(매월 통신사에 전용선 사용료 지불)
본점은 지점 컴퓨터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와 관리 가능(지점의 매출과 재고 등)
[4단계] 홈페이지 구축 / 마당서점 인터넷 서비스 실시
도서 : 100,000권
고객 : 국민(전국으로 배송), 온라인 주문 가능
고객 서비스 : 인터넷으로 도서 검색 및 주문
업무 : 회계/인사업무(컴퓨터와 인터넷 사용), 웹DB시스템으로 지점 간 연계
인터넷이 가능해지면서 마당서점은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서점 외부에서도 업무를 볼 수 있게 됨
인터넷으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
인터넷으로 본점은 지점(또는 거래처)을 연결하여 업무를 처리함
[5단계] 인터넷 쇼핑몰 운영 / 마당서점 인터넷 쇼핑몰 운영
도서 : 1,000,000권
고객 : 국민(전국으로 배송)
고객 서비스 : 인터넷 종합 쇼핑 서비스 제공
업무 : 회계/인사업무(컴퓨터와 인터넷 사용), DB서버 여러 개 구축
인터넷이 활성화되면서 매출의 50% 이상이 인터넷을 통한 구매로 발생하였음
도서뿐만 아니라 음반, 액세서리, 문구, 공연 티켓까지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로 확대
단계 | 시기 | 주요 특징 |
정보기술 | ||
1단계 마당서점 |
1970년대 | 사장이 모든 도서의 제목과 가격을 기억 매출과 판매가 컴퓨터 없이 관리됨 매출에 대한 내용이 정확하지 않음 |
컴퓨터 없음 | ||
2단계 초기전산화 |
1980년대 | 컴퓨터를 이용한 초기 응용 프로그램으로 업무 처리 파일 시스템 사용 한 대의 컴퓨터에서만 판매 및 매출 관리 |
컴퓨터 | ||
3단계 데이터베이스 |
1990년대 | 지점 간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을 도입하여 업무 처리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도입 |
컴퓨터+원격통신 | ||
4단계 홈페이지 구축 |
2000년대 | 인터넷을 이용하여 도서 검색 및 주문 웹 DB 시스템으로 불특정 다수 고객 유치 고객이 지리적으로 넓게 분산됨 |
컴퓨터+인터넷 | ||
5단계 인터넷 쇼핑몰 |
2010년대 | 도서뿐만 아니라 음반, 액세서리, 문구, 공연 티켓까지 판매하는 인터넷 쇼핑몰로 확대 도서 외 상품의 매출 비중이 50% 이상으로 늘어남 |
컴퓨터+인터넷 |
2. 정보 시스템의 발전
1) 파일 시스템(1980년대)
- 데이터를 파일 단위로 파일 서버에 저장
→ 쉽게 말해 파일이 따로따로, 연동 되지 않음 - 각 컴퓨터는 LAN을 통하여 파일 서버에 연결되어 있고, 파일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각 컴퓨터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파일의 열기/닫기(open/close)를 요청
- 각 응용 프로그램이 독립적으로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같은 데이터가 중복 저장될 가능성이 있음
- 동시에 파일을 다루기 때문에 데이터의 일관성이 훼손될 수 있음
2) 데이터베이스 시스템(1990년대)
- DBM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 DBMS가 설치되어 데이터를 가진 쪽을 서버, 외부에서 데이터 요청하는 쪽을 클라이언트라고 함
- DBMS 서버가 파일을 관리하며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복구, 동시 접근 제어 등을 수행
- 데이터의 중복을 줄이고 데이터를 표준화하며 무결성을 유지함
3)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00년대)
- 데이터베이스를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시스템 → 클라우드 개념 아님
- 불특정 다수 고객을 상대로 하는 온라인 상거래나 공공 민원 서비스 등에 사용됨
- 클라이언트는 → 웹브라우저를 통해 → 웹서버에 접속하여 → 데이터를 요청하면 → 웹서버는 DBMS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함
4)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10년대)
- 여러 곳에 분산된 DBMS 서버를 연결하여 운영하는 시스템
- 대규모의 응용 시스템에 사용됨
5)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2020년대)
- 클라우드 상에 DBMS 서버를 올려놓고 운영하는 시스템
- 2017~2018년 사이 등장, 2010년대 활성화 (예상)
- 보안 문제 해결 남음. 증명
정보 시스템의 발전과 기업의 업무 환경 변화
'SJCU > 데이터베이스구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JCU]2주차.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 (0) | 2023.03.09 |
---|---|
[SJCU]2주차. 파일 시스템과 DBMS (0) | 2023.03.09 |
[SJCU]1주차. 데이터베이스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0) |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