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
등차수열(파이썬 출력) 본문
등차수열
다음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고 n번째항의 값과 합을 출력
{4, 10, 16, 22, 28, 34, 40, 46, 52, 58, 64… }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D = int(input('공차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valueN = 0
sumN = 0
n = 1
while n <= inputN:
if n == 1:
valueN = inputA1
sumN += valueN
print('{}번째 항의 값: {}'.format(n, valueN))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n, sumN))
n += 1
continue
valueN += inputD
sumN += valueN
print('{}번째 항의 값: {}'.format(n, valueN))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n, sumN))
n += 1
print('{}번째 항의 값: {}'.format(inputN, valueN))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inputN, sumN))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D = int(input('공차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 등차 수열(일반항) 공식: an = a1 + (n-1) * d
valueN = inputA1 + (inputN-1) * inputD
print('{}번째 항의 값: {}'.format(inputN, valueN))
# 등차 수열(합) 공식: sn = n(a1 + an) / 2
sumN = inputN * (inputA1 + valueN) / 2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inputN, int(sumN)))
a1 입력: 4
공차 입력: 6
n 입력: 10
1번째 항의 값: 4
1번째 항까지의 합: 4
2번째 항의 값: 10
2번째 항까지의 합: 14
3번째 항의 값: 16
3번째 항까지의 합: 30
4번째 항의 값: 22
4번째 항까지의 합: 52
5번째 항의 값: 28
5번째 항까지의 합: 80
6번째 항의 값: 34
6번째 항까지의 합: 114
7번째 항의 값: 40
7번째 항까지의 합: 154
8번째 항의 값: 46
8번째 항까지의 합: 200
9번째 항의 값: 52
9번째 항까지의 합: 252
10번째 항의 값: 58
10번째 항까지의 합: 310
10번째 항의 값: 58
10번째 항까지의 합: 310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그마∑(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
등비수열(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진법(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최소공배수(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최대공약수(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