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
시그마∑(파이썬 출력) 본문
시그마
첫 째날 쌀 두톨을 받고 둘째 날부터는 하루 전의 2배에 해당하는 쌀을 받는다고 할 때,
30일째 되는 날 받게 되는 쌀의 개수를 수열과 시그마로 나타내고 이를 출력
{2, 4, 8, 16, 32, 64, 128, 256, 512, 1024, … }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R = int(input('공비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valueN = 0
sumN = 0
n = 1
while n <= inputN:
if n == 1:
valueN = inputA1
sumN += valueN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n, sumN))
n += 1
continue
valueN *= inputR
sumN += valueN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n, sumN))
n += 1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inputN, sumN))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R = int(input('공비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 등비 수열(합) 공식: sn = a1 * (1 - r^n) / (1-r)
sumN = inputA1 * (1 - (inputR ** inputN)) / (1 - inputR)
print('{}번째 항까지의 합: {}'.format(inputN, int(sumN)))
a1 입력: 2
공비 입력: 2
n 입력: 30
1번째 항까지의 합: 2
2번째 항까지의 합: 6
3번째 항까지의 합: 14
4번째 항까지의 합: 30
5번째 항까지의 합: 62
6번째 항까지의 합: 126
7번째 항까지의 합: 254
8번째 항까지의 합: 510
9번째 항까지의 합: 1022
10번째 항까지의 합: 2046
11번째 항까지의 합: 4094
12번째 항까지의 합: 8190
13번째 항까지의 합: 16382
14번째 항까지의 합: 32766
15번째 항까지의 합: 65534
16번째 항까지의 합: 131070
17번째 항까지의 합: 262142
18번째 항까지의 합: 524286
19번째 항까지의 합: 1048574
20번째 항까지의 합: 2097150
21번째 항까지의 합: 4194302
22번째 항까지의 합: 8388606
23번째 항까지의 합: 16777214
24번째 항까지의 합: 33554430
25번째 항까지의 합: 67108862
26번째 항까지의 합: 134217726
27번째 항까지의 합: 268435454
28번째 항까지의 합: 536870910
29번째 항까지의 합: 1073741822
30번째 항까지의 합: 2147483646
30번째 항까지의 합: 2147483646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보나치수열(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
계차수열(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등비수열(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등차수열(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진법(파이썬 출력) (0) | 2023.01.1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