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RUBY

[220530] SQLD _ 02. 엔터티(Entity) 본문

자격증/SQL 개발자

[220530] SQLD _ 02. 엔터티(Entity)

ruby-jieun 2022. 5. 30. 11:58

02. 엔터티(Entity)

 엔터티 = 독립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터티 = 식별이 가능한 객체

 

  * 전문가들이 정의한 엔터티

   - Peter Chen (1976) 식별할 수 있는 식물

   - C.J Date (1986)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식별 가능한 객체

   - James Martin (1989)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것

   - Thomas Bruce (1992)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그리고 개념 등

 

 엔터티 : 업무에서 쓰이는 데이터를 용도별로 분류한 그룹

 1) 각각의 엔터티는 자신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속성(attribute)을 갖게 된다.

 2) 속성의 개수는 엔터티마다 달라서 용도에 따라 매우 많거나 적을 수 있다.

 3) 실질적으로 업무에서 쓰이는 정보여야 엔터티로 도출하는 의미가 있다.

 4) 유니크함을 보장할 수 있는 식별자가 있어야 한다.(각각의 인스턴스가 중복되거나 식별이 모호하면 설계가 잘못된 것)

 5)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인스턴스가 1개만 존재하고 앞으로도 쭉 1개만 존재할 예정이라면 엔터티로 볼 수 없다.)

 6) 반드시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7) 다른 엔터티와 1개 이상의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연관성)

 

 엔터티의 분류

 1) 유형 vs 무형

    유형 엔터티 - 물리적 형태 존재, 안정적, 지속적

    개념 엔터티 - 물리적 형태 없음, 개념적

    사건 엔터티 - 행위를 함으로써 발생, 빈번함, 통계자료로 이용가능 

 2) 발생시점

    기본 엔터티 - 독립적으로 생성, 자식 엔터티를 가질 수 있음

    중심 엔터티 - 기본 엔터티로부터 파생, 행위 엔터티 생성

    행위 엔터티 - 2개 이상의 엔터티로부터 파생

 

 엔터티 작명 시

  * 업무에서 실제로 쓰이는 용어 사용

  * 한글은 약어를 사용하지 않고 영문은 대문자로 표기

  * 단수 명사로 표현하고 띄어쓰기는 하지 않음

  * 다른 엔터티와 의미상으로 중복될 수 없음(주문, 결제 엔터티는 중복될 수 있음)

  * 해당 엔터티가 갖고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표현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