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BY
[220530] SQLD _ 02. 엔터티(Entity) 본문
02. 엔터티(Entity)
엔터티 = 독립체
데이터베이스에서 엔터티 = 식별이 가능한 객체
* 전문가들이 정의한 엔터티
- Peter Chen (1976) 식별할 수 있는 식물
- C.J Date (1986)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식별 가능한 객체
- James Martin (1989)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것
- Thomas Bruce (1992)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그리고 개념 등
엔터티 : 업무에서 쓰이는 데이터를 용도별로 분류한 그룹
1) 각각의 엔터티는 자신을 더 상세하게 나타내기 위해 속성(attribute)을 갖게 된다.
2) 속성의 개수는 엔터티마다 달라서 용도에 따라 매우 많거나 적을 수 있다.
3) 실질적으로 업무에서 쓰이는 정보여야 엔터티로 도출하는 의미가 있다.
4) 유니크함을 보장할 수 있는 식별자가 있어야 한다.(각각의 인스턴스가 중복되거나 식별이 모호하면 설계가 잘못된 것)
5) 2개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인스턴스가 1개만 존재하고 앞으로도 쭉 1개만 존재할 예정이라면 엔터티로 볼 수 없다.)
6) 반드시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7) 다른 엔터티와 1개 이상의 관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연관성)
엔터티의 분류
1) 유형 vs 무형
유형 엔터티 - 물리적 형태 존재, 안정적, 지속적
개념 엔터티 - 물리적 형태 없음, 개념적
사건 엔터티 - 행위를 함으로써 발생, 빈번함, 통계자료로 이용가능
2) 발생시점
기본 엔터티 - 독립적으로 생성, 자식 엔터티를 가질 수 있음
중심 엔터티 - 기본 엔터티로부터 파생, 행위 엔터티 생성
행위 엔터티 - 2개 이상의 엔터티로부터 파생
엔터티 작명 시
* 업무에서 실제로 쓰이는 용어 사용
* 한글은 약어를 사용하지 않고 영문은 대문자로 표기
* 단수 명사로 표현하고 띄어쓰기는 하지 않음
* 다른 엔터티와 의미상으로 중복될 수 없음(주문, 결제 엔터티는 중복될 수 있음)
* 해당 엔터티가 갖고 있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표현
'자격증 > SQL 개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31] SQLD _ 06. 정규화(Normalization), 반정규화(De-Normalization), 트랜잭션(Transaction), NULL (0) | 2022.05.31 |
---|---|
[220530] SQLD _ 05. 식별자(Identifiers) (0) | 2022.05.30 |
[220530] SQLD _ 04. 관계(Relationship) (0) | 2022.05.30 |
[220530] SQLD _ 03. 속성(Attribute) (0) | 2022.05.30 |
[220527] SQLD _ 01. 데이터 모델의 이해 (0) | 2022.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