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5)
RUBY
등비수열 다음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고 n번째항의 값과 합을 출력 {2, 6, 18, 54, 162, 486, 1458, 4374, 13122, … }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R = int(input('공비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valueN = 0 sumN = 0 n = 1 while n
등차수열 다음 수열의 일반항을 구하고 n번째항의 값과 합을 출력 {4, 10, 16, 22, 28, 34, 40, 46, 52, 58, 64… } inputA1 = int(input('a1 입력: ')) inputD = int(input('공차 입력: ')) inputN = int(input('n 입력: ')) valueN = 0 sumN = 0 n = 1 while n
진법 사용자가 입력한 수를 이용해서, 진법 변환 • 10진수 → 2, 8, 16진수 변환 • X진수 → 10진수 • X진수 → X진수 dNum = int(input('10진수 입력: ')) # 10진수 → 2, 8, 16진수 print('2진수: {}'.format(bin(dNum))) print('8진수: {}'.format(oct(dNum))) print('16진수: {}'.format(hex(dNum))) # X진수 → 10진수 print('2진수(0b10101) -> 10진수({})'.format(int('0b10101', 2))) print('8진수(0o135) -> 10진수({})'.format(int('0o135', 8))) print('16진수(0x5f) -> 10진수({})'.format..
최소공배수 100부터 1000사이의 2개의 난수에 대해서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를 출력 import random rNum1 = random.randint(100, 1000) #100부터 1000사이의 숫자 중 난수 rNum2 = random.randint(100, 1000) #100부터 1000사이의 숫자 중 난수 print(f'rNum1: {rNum1}') print(f'rNum2: {rNum2}') maxNum = 0 for n in range(1, (min(rNum1, rNum2) + 1)): #min은 두 숫자 중 작은 수를 반환 if rNum1 % n == 0 and rNum2 % n == 0: #공약수를 찾는다 print(f'공약수: {n}') maxNum = n print(f'최대공약수: {..
최대공약수 100부터 1000사이의 2개의 난수에 대해서 공약수와 최대공약수를 출력하고, 서로소인지 출력 import random rNum1 = random.randint(100, 1000) #100부터 1000사이의 숫자 중 난수 rNum2 = random.randint(100, 1000) #100부터 1000사이의 숫자 중 난수 print(f'rNum1: {rNum1}') print(f'rNum2: {rNum2}') maxNum =0 for n in range(1, (min(rNum1, rNum2) + 1)): #min은 두 숫자 중 작은 수를 반환 if rNum1 % n == 0 and rNum2 % n == 0: #공약수를 찾는다 print(f'공약수: {n}') maxNum = n print(f..
소인수와 소인수분해 100부터 1000사이의 난수를 소인수분해 하고 각각의 소인수에 대한 지수를 출력 import random rNum = random.randint(100, 1000) print(f'rNum: {rNum}') soinsuList = [] n = 2 while n
약수, 소수, 소인수 출력 100부터 1000사이의 난수에 대해서 약수, 소수, 그리고 소인수를 출력 import random rNum = random.randint(100, 1000) print(f'rNum: {rNum}') for num in range(1, rNum+1): soinsuFlag = 0 #약수 if rNum % num == 0: print(f'[약수]: {num}') soinsuFlag += 1 # 소수 if num != 1: flag = True for n in range(2, num): if num % n == 0: flag = False break if (flag): print(f'[소수]: {num}') soinsuFlag += 1 # 소인수 if soinsuFlag >= 2: ..

확률 확률 확률은 간단히 말해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입니다. 어떤 일이 일어날 가능성을 측량하는 단위로 비율이나 빈도로 나타냅니다. 확률에는 수학적 확률과 경험적 확률이 있습니다. 수학적 확률은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해 그 일이 일어날 확률을 수학적으로 계산한 것입니다. 수학적 확률은 모든 경우의 수에 대한 그 일이 일어날 경우의 수의 비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사위의 각 면은 동일한 기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는 6이고 그 중에 한 면이 위가 될 경우는 1입니다. 따라서 주사위의 어떤 눈이 나올 확률은 1⁄6이 됩니다. 확률과 조합 → 조합을 이용해서 확률을 알아낼 수 있다. 특정 사건이 일어날 수 있는 수를 찾아보자. 박스에 '꽝'이 적힌 종이가 4장 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