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5)
RUBY

함수란? 함수란? 파이썬의 함수는 수학의 함수와 동일하다. 내장함수, 사용자함수 함수는 파이썬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내장함수와 사용자가 직접 선언하는 사용자 함수가 있다. 내장 함수 print('Hello python!') str = input() print(f'str : {str}') print(f'str length : {len(str)}') numbers = [1, 2, 3, 4, 5] numbers.sort() print(f'numbers : {numbers}') numbers.reverse() print(f'numbers : {numbers}') numbers.clear() print(f'numbers : {numbers}') 사용자 함수 def printUserName(name) : print..
중첩 반복문 중첩 반복문 반복문안에 또 다른 반복문을 선언한다. for i in range(1, 10): for j in range(i): print('*', end='') print() * ** *** **** ***** ****** ******* ******** *********
반복문 제어(break) break 키워드 반복 실행 중 break를 만나면 반복문을 빠져나온다. num = 0 while True: print('Hello~ ') num += 1 if (num >= 5): break 1부터 100까지 정수를 더할 때, 합계가 100이 넘는 최초의 정수 찾기 sum = 0 searchNum = 0 for i in range(100): sum += i if sum > 100: searchNum = i break print('serchNum : {}' .format(searchNum))
반복문 제어(continue) continue 키워드 반복 실행 중 continue를 만나면 실행을 생략하고, 다음 반복 실행문으로 넘어간다.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 .format(i)) else 키워드 else의 실행문은 반복문이 종료된 후 실행된다. cnt = 0 for i in range(100): if i % 7 != 0: continue print('{}는 7의 배수입니다.' .format(i)) cnt += 1 else: print('99까지의 정수 중 7의 배수는 {}개입니다.' .format(cnt))
무한루프 무한 반복 실행 반복문을 빠져나올 수 없는 경우를 무한 루프라고 한다. while문에서 조건식의 결과가 항상 True인 경우 무한루프 n = 1 while n = 1000: flag = False
for문과 while문 비교 for문이 적합한 경우 횟수에 의한 반복이라면 for문이 while문보다 적합하다. 1부터 10까지의 합을 구하는 경우 for문이 while문보다 코드가 간결하다. for문 sum = 0 for i in range(1, 11): sum += i print('sum : {}' .format(sum)) while문 sum = 0 n = 1 while n < 11: sum += n n += 1 print('sum : {}' .format(sum)) while문이 적합한 경우 조건에 의한 반복이라면 while문이 for문보다 적합하다. 1부터 시작해서 7의 배수의 합이 50 이상인 최초의 정수 출력 for문 sum = 0 maxInt = 0 for i in range(1, 101):..

조건에 의한 반복(while문) 조건에 의한 반복이란? 조건에 만족하면 반복 실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복을 중단한다. ex) 매일 아침 기상 알람, 게임 반복 실행, 타이머 조건에 의한 반복은 while문이 주로 사용된다. endNum = 10 n = 0 while n 10: pass → 나중에 코딩 하겠다. :(코드 블록), 들여 쓰기
반복 범위 설정(range()함수) range() 기본 for i in range(1, 10, 2): → 1부터 10까지 2씩 증가 → 1(시작) 10(끝) 2(단계) range() 변형 단계 매개변수 생략 for i in range(1, 11): → 단계가 1인 경우 생략 가능 → 1부터 10까지 1씩 증가 for i in range(1, 11): print(i) 시작 매개변수 생략 for i in range(11): → 시작이 0인 경우 생략 가능 → 0부터 10까지 1씩 증가 for i in range(11): prin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