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305)
RUBY
EDA/웹크롤링 주유소 데이터 분석하기 목표 데이터 분석 주제를 선정한 후, 데이터 수집, 데이터 전처리, 데이터 분석 결과까지 진행 EDA/웹크롤링/파이썬 형식 Jupyter notebook
01. 소프트웨어 개발방법론 1. SDLC 시스템의 요구분석부터 유지보수까지 전 공정을 체계화한 절차 - 요설구테유(요구사항분석 - 설계 - 구현 - 테스트 - 유지보수) 2. 폭포수 모델(waterfall) 소프트웨어 개발 시 각 단계를 확실히 마무리 지은 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모델 - 가장 오래된 모델 - 선형 순차적 모형으로 고전적 생명주기 모형이라고도 함 - 모형의 적용 경험과 성공 사례가 많음 - 단계별 정의와 산출물이 명확 - 요구사항 변경이 어려움 3. 프로토타이핑 모델(prototyping) 고객이 요구한 주요 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하여, 고객의 피드백을 반영하여 소프트웨어를 만들어가는 모델 - 프로토타입은 발주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 모델을 제공 - 프로토타입은 구현 단..
컴퓨터교과교육개론 13주차. 정보 교육의 평가 학습내용 교육 평가의 이해 평가 도구의 개발 정보 교과의 평가 학습목표 교육 평가의 의미를 이해하고, 세 가지의 검사관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도구의 유형을 이해하여, 정보 교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수업 평가 방법을 이해하여, 정보 수업을 평가할 수 있다. 1. 교육 평가의 이해 1. 교육 평가의 개념 교육 평가 교육 목표의 달성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학생의 학습과 행동 및 여러 교육 조건을 교육 목적에 비추어 측정하고 판단 교육이 실행되고 난 후에 교육 활동의 효율성을 미리 설정된 준거에 의해 평가해 보고, 그 결과에 대한 가치를 판별하는 체계적인 과정 학생의 교육 목적 달성 정도를 평가하기도 하고, 교사 스스로의 교수..
컴퓨터교과교육개론 12주차. 정보 교육의교수학습 방법(3) 학습내용 교수 · 학습 방법 교수 · 학습 과정안 작성 설명, 발문, 피드백 PCK와 TPACK의 이해 학습목표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을 살펴보고,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정보 교과에서 한 차시를 선택하여 교수 · 학습 과정안을 작성할 수 있다. 1. 교수· 학습방법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 강의법 역할놀이 시범 · 실습법 발견학습 협동학습 인지적 도제학습 문제중심학습 팀티칭과 동료교수법 토론법 언플러그드 학습 1. 역할놀이 가상 역할을 수행하여 문제시되는 태도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기법 문제상황에서 실제 역할을 하여 구체적 문제를 겪지 않고도 그 상황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가치나 의견을 보다 명확하게 깨닫게 하고..
컴퓨터교과교육개론 11주차. 정보 교육의교수학습 방법(2) 학습내용 개요 교수 · 학습방법 학습목표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을 살펴보고, 수업의 목표와 내용에 맞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1. 개요 1. 교수 · 학습 활동의 특성 교수 · 학습 활동은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과정 일정한 학습 과제의 성공적인 학습을 위해서 계획되고 운영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 2. 교수 학습 방법을 선택할 때 고려 조건 수업 환경 수업의 목표와 내용 교수자 학습자 3. 다양한 교수 · 학습 방법 강의법 역할놀이 시범 · 실습법 발견학습 협동학습 인지적 도제학습 문제중심학습 팀티칭과 동료교수법 토론법 언플러그드 학습 2. 교수· 학습방법 1. 강의법 가장 오래되고 보편적인 교수법 학생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대표적 방..
컴퓨터교과교육개론 10주차. 정보 교육의교수학습 방법(1) 학습내용 교수학습의 이해 학습이론 교수설계이론 학습내용 교수와 학습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행동, 인지,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강조하는 학습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교수설계이론을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1. 교수학습의 이해 1. 개요 교육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 2. 교수의 정의 학자들마다 약간의 상이한 시각 차이를 나타냄 3. 교수의 의미 교수는 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교수 행위 자체에 가치가 있는것이 아니라 학습을 돕는 데서 그 가치를 발견 같은 교수 상황에서도 각기 다른 학습이 일어날 수 있음 학습이 학생에게 일어나도록 그의 내부 과정에 맞추어 그의 외적 상황과 조건을 설..
컴퓨터교과교육개론 9주차. 정보 교육의 교재 학습내용 교재의 이해 교과서의이해 멀티미디어 자료와 디지털 교과서 교재의 개발과 활용 학습목표 교재의 개념 및 다양한 교재를 설명할 수 있다. 교과서의 개념을 이해하고, 분류할 수 있다. 에듀넷을 포함한 최근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조사할 수 있다. 교재를 개발하는 모형을 살펴보고, 직접 개발할 수 있다. 1. 교재의 이해 1. 교재의 정의 교재 교육에 필요한 내용을 담고 있어 가르치거나 학습하는 데 쓰이는 여러 가지 재료 교수 ∙ 학습 과정에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매개체 교과서를 비롯한 다양한 도서류, 실물이나 모형, 사진과 그림, 음성 자료, 비디오, 컴퓨터 기반의 멀티미디어 자료, 인터넷 사이트 등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모든 자료 교구 교수 학습..
컴퓨터교과교육개론 8주차. 정보 교육의 학습 내용 학습내용 학습 내용의 선정과 조직 정보 교과의 학습 내용 컴퓨팅 사고 교육의 이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이해 정보 윤리의 이해 학습목표 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정보 교과의 학습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국외의 컴퓨터 과학 교육에서 제시하고 있는 학습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컴퓨팅 사고와 컴퓨팅 사고 교육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의미를 살펴보고,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조사할 수 있다. 정보 윤리의 학습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1. 학습 내용의 선정과 조직 1. 학습 내용 학습 내용 → 학생이 학습할 자료 또는 학습에 관계된 개념 등에 대한 실제적 내용 → 교사가 계획하는 교육 내용 2...